개인사업자 프리랜서 5월 국세청홈택스 종합소득세 종소세신고 모두 채움 이용방법 정리
개인사업자로 사업을 영위하다보시면 프리랜서들의 급여를 지급해야할 때를 마주하게 됩니다. 이 때 원천세는 급여를 지급하고 그 다음달 10일까지 신고 및 납부하면 되지만 하지만 원천징수 이행상황 신고서를 제출하게 되는 것인데요, 프리랜서를 고용한 사업주 분들께서는 급여 신고를 해야하는데 한 번 익혀두면 수월하니 셀프신고를 해보는것도 도움이 될 듯 합니다. 고용, 신고하기 전에 우리들이 흔히 이야기하는 3.3 세금을 어떠한 방식으로 공제할지 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
사업주가 부담할지 프리랜서 당사자 금액에서 공제할지 정하는 것을 이야기합니다. 이 세금은 보통 계약할 때 세전 금액을 기준으로 소득세 3,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 가되어 우리들이 흔히 이야기하는 3.3가 되는 것인데요, 구체적인 계산은 아래 화면을 통해 연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원천세 계산하기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10/ico_pop.png)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10/ico_pop_txt.png)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10/cover1.jpg)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arrow.png)
도입부에서 언급한 3.3에 대하여 공제하는 방법을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총 지급금액이 500,000원 인 경우 세전 50만원에 대하여 3를 계산해줍니다. 50만원에 대한 소득세는 15,000원이 되는 것이고, 이 소득세 15,000원의 10인 1,500원이 지방소득세가 되는 것 입니다. 계약된 급여 500,000원 소득세 500,000원3 15,000원 지방소득세 15,000원소득세10 1,500원 세금합계 3.3 16,500원 이렇게 계산해서 나온 금액을 소득세에 입력해 주면 되는데요, 만약 50만원에 대한 소득세를 사업주가 아닌 피고용인 프리랜서 당사자가 부담하기로 한 경우 총 지급액에서 세금을 뺀 금액을 급여로 이체해야하니 미리 계산해 두는것이 좋습니다.
4단계, 소득공제명세서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10/ico_pop.png)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10/ico_pop_txt.png)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10/cover1.jpg)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arrow.png)
소득공제명세서 부분입니다. 먼저 인적공제 부분은 공제 대상자의 주민등록번호, 관계 등을 입력 후, 인제공제항목70세 이상, 부녀자, 한부모가족, 장애인에 해당하는 부분을 체크한 후, 등록하기를 입력하시면, 아래에 기본공제자 명세 부분에 추가됩니다.
그 외에 국민연금보험료(건강보험료, 국민연금 등) 납부 금액, 개인연금저축, 주택마련저축(청약통장) 등 공제 받을 수 있는 금액들이 자동으로 등록됩니다.
자동 등록이 되지 않는 다른 부분들은 연관된 부분들을 직접 입력하면 됩니다.
8단계, 가산세명세서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10/ico_pop.png)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10/ico_pop_txt.png)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10/cover1.jpg)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arrow.png)
가산세명세서 단계에서는 가산세 대상 금액들을 확인하고 해당하는 금액들을 입력해주는 단계입니다. 해당하는 부분들을 직접 입력해주시면 되겠습니다. 가산세 부분에서 몇 가지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. 제일 처음 나오는 무신고 가산세 부분에서 부정과 일반이 있었으나 이 둘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. 부정 알면서도 신고하지 않는 경우일반 어쩌다보니 실수로 신고하지 않은 경우
이 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.
아래의 과소신고 가산세 부분도 마찬가지겠죠? 또한, 납부지연 가산세는 미납일수마다하루 단위로 계속 오르기 때문에, 종합소득세 납부는 마감일자에 최대한 빨리 납부하셔야 합니다.
지금 모두채움 신고 절차 2 소득공제에서 확인한 소득공제액은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10/ico_pop.png)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10/ico_pop_txt.png)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10/cover1.jpg)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arrow.png)
인적공제 국민연금 납입금 2,000,000 987,470 2,987,470입니다.
소득금액과 소득공제 결과, 자동으로 과세표준이 나옵니다.
소득금액 소득공제액 과세표준 4,322,682원 2,987,470 1,335,212 즉 지금까지 빈칸을 채운 것은 과세표준을 구하기 위함입니다. 4 과세표준 값이 나왔다면, 과세표준에 맞는 세율이 자동적용되어 산출세액이 나옵니다.
산출세액 과세표준 x 세율 저는 31 과세표준이 1,200만 원 이하라서 36 세율은 최저세율인 6프로가 적용됩니다. (33) 산출세액은 (31) 과세표준 x (36) 세율로, 1,335,212원 x 0.06으로 자동계산되어 80,112원이 나옵니니다.
지방소득세 신고하기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10/ico_pop.png)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10/ico_pop_txt.png)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10/cover1.jpg)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arrow.png)
국세청 홈택스 내 세금납부 메뉴에서 원천세 관련 지방소득세 납부를 클릭해줍니다. 알아서 해당 창으로 이동시켜주는데요, 새로운 창이 뜨니 놀라지말고 하나씩 입력해주도록 합니다. 하나하나 입력해도 되지만 하지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으므로 오른쪽 중반에 있는 홈택스 신고정보 가져오기를 눌러줍니다. 알아서 사업자 정보가 입력되는데요, 이후 빈칸인 신고인 정보 등을 채워넣고 자동으로 불러온 정보는 틀린부분이 없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해 줍니다.
위에서 계산했던 15,000원에 대한 10이기 때문에 해당 내역을 입력해 주도록 하고 다음을 선택해 줍니다. 특이사항이 없습니다.면 접수된 내용이 뜨게 되고 이 또한 즉시납부를 통해 빨리 납부하는것이 편리한 방법일 것 같습니다. 저는 지방세 계좌를 통해 가상통장 입금을 선택했고 빠르게 입금하고 끝냈습니다. 많은 사업자 분들이 쉽게 세금납부 하시길 바랍니다.
자주 묻는 질문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10/ico_pop.png)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10/ico_pop_txt.png)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10/cover1.jpg)
![](https://www.postincome.co.kr/wp-content/uploads/2024/arrow.png)
원천세 계산하기
도입부에서 언급한 3.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.
4단계 소득공제명세서
소득공제명세서 부분입니다. 구체적인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8단계 가산세명세서
가산세명세서 단계에서는 가산세 대상 금액들을 확인하고 해당하는 금액들을 입력해주는 단계입니다.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